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

더 배트맨 ★★☆☆☆ 2022. 5. 24.
논문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학술 논문 읽기를 처음 시작한 학생들을 위해, 아래는 논문을 읽을때 효율적으로 읽는 방식에 대해 정리합니다. 논문은 크게 연구 논문과 리뷰 논문으로 나뉩니다. 연구 논문 흔히 우리 알고 있는 논문은 “연구 논문” 입니다. 가설을 수립하고 실험을 하고, 그 결과를 해석한 논문을 의미합니다. 영어로 “research article”이라고 합니다. 길이에 따라 짧은 연구 논문을 “short communication”이나 “brief report”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학술지(journal)에 따라 명칭이 약간씩 다르기도 합니다. 연구 논문은 보통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습니다. Abstract (초록): 넷플릭스나 영화 소개처럼 해당 연구 논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포함합니다. 서론, 본론 (실험 및 결과).. 2021. 2. 28.
Inversion/Threshold Voltage Inversion Inversion이란 게이트 전압에 의해서 반도체 기판에 채널이 형성되는 상태이다. 채널을 통해 Source의 전자가 Drain으로 이동하면서 소자가 구동되는 것이다. Inversion이 되면, Band diagram은 휜 부분과 평평한 부분으로 나눠진다. 평평한 부분은 Nuetral region이라 Charge의 합이 0이므로 반도체 기판의 전하량은 밴드가 휜 채널 부분의 전하량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표면 포텐셜에 따라 채널의 두께가 변하고 채널의 두께가 변한다는 것은 채널의 Charge도 변한다.~ Threshold Voltage 문턱전압이라고도 불리는 Vth는 표면포텐셜이 F potential(파이 에프)의 두 배가 넘는 지점이다. 파이에프는 반도체 기판의 Ei와 Ef의 차이이다... 2020. 8. 31.
누설전류(Leakage Current) 누설전류 (leakage current) Transistor를 소형화 하는데는 문제가 있는데, Leakage cuurent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누설 전류란 전류가 흘러야 할 곳이 아닌 다른 곳으로 흐르는 현상이다. 다시 말하면 전류가 새는 것인데, 본래의 동작에 기여하지 못하고 소비전류만 늘어나게 된다. 누설전류는 DRAM에서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는데, 얇아진 산화막 두께로 인해 유도된 강한 전기장이 Space charge 영역에서 일어나는 밴드간 터널링에 의한 전하의 생성량을 크게 하여 GIDL(Gate Induced Drain Leagkage)가 발생한다.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크기가 작아지면서 산화막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게이트와 아래 기판 사이에 전류가 누설.. 2020. 8. 31.